[Springboot] 스프링부트 Gradle 프로젝트 시작하기

프로젝트 생성

이클립스나 인텔리제이같은 IDE에서 프로젝트를 생성할 수도 있지만 보다 간편한 방법을 사용해보자.

스프링 이니셜라이즈 🔗를 사용하면 손쉽게 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젝트 관련 사항들을 설정하고 genertate 버튼을 누르면 다운받을 수 있다.

설정 가능한 몇가지 사항들에 대해서 알아보자.

Project

프로젝트를 빌드해주는 라이브러리 설정.

요즘은 Maven에서 Gradle로 넘어오는 추세

Spring Boot

3.x 버전은 Java 17버전부터 지원하니 유의하자.

SNAPSHOT은 아직 만들고 있는 버전, M1은 아직 정식 릴리즈되지 않은 버전이다.

참고해서 버전을 설정하도록 하자.

Dependencies

의존성을 주입할 라이브러리를 설정하는 부분.

기본적으로 Spring Web을 추가했는데, 프로젝트 생성 후에도 넣었다 뺐다 할 수 있으니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괜찮다.

 

이제 인텔리제이에서 프로젝트를 열어보자.

  • 다운받은 프로젝트의 압축 해제
  • 인텔리제이로 이동해 프로젝트의 build.gradle 파일 열기

프로젝트 실행

이제 프로젝트를 실행해보자.

  • src > main > java > 기본 패키지 > AppApplication.java로 이동
  • 클래스명 옆 초록색 화살표를 눌러 프로젝트 실행

메인메서드에 따라 AppApplication 클래스를 실행시킨 것이다.

 

톰캣 서버가 실행되면 콘솔에 명시된 포트번호에 따라 브라우저로 접속한다.

이런 화면이 뜨면 프로젝트가 제대로 실행된 것이다😀

실행 관련 설정

프로젝트를 실행하다보면 java 파일을 직접 실행하지 않고 gradle을 통해 실행하는 경우가 있다.

gradle을 통해 실행하면 속도가 느릴 수 있기 때문에 설정을 바꾸는 것이 좋다.

  • settings에서 gradle 검색
  • Build and run using, Run tests using 항목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