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계층간 데이터 교환, Map vs DTO
얼레벌레 프로젝트를 진행할 적에는, 레이어 간 데이터를 교환할 때 Map을 사용했다. 이유는 VO, DTO, Entity 등 데이터 객체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기 때문에.. 그냥 손에 잡히는 걸 사용했던 것이다. Map을 사용하면서 여러모로 불편함을 느껴 DTO 클래스로 리팩토링했는데, 실제로 구글링해봤을 때에도 많은 개발자들이 Map보다는 DTO를 선호하는 것으로 보였다. 🤔 왜 DTO인가? Map 대신 DTO를 사용하는 이유는 뭘까? 이는 Map의 단점으로 대신할 수 있다. 타입체크 불가 Map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HashMap map = new HashMap(); 다양한 타입의 데이터를 받기 위해서는 value의 제네릭 타입을 Object로 설정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하지만 모든 클래..
🌿 Spring
2023.10.05
🌿 Spring